top of page

디지털 예산 심사·감사 전략

화려한 IT 용어 뒤에 숨은 '혈세 낭비' 찾아내기

"AI, 메타버스, 스마트시티...

화려한 이름표만 붙이면 예산을 통과시켜 주시겠습니까?"

 

(서브 카피) 수십억 원짜리 플랫폼을 만들고 접속자는 하루 10명? 고가의 엔비디아(NVIDIA) 장비를 사놓고 먼지만 쌓아두는 전산실? IT를 몰라도 괜찮습니다. 박동명 박사가 '눈먼 돈'을 찾아내는 '디지털 감사 안경'을 씌워드립니다.

ZZZZZ

IT 예산 심사, 왜 어려울까요?

  • 함정 1. "ISP(정보화전략계획) 수립 중입니다"

  • 👉 실체: 사업 타당성을 검토하랬더니, 용역비만 1억 원을 쓰고 '무조건 하라'는 보고서만 가져옵니다.

  • 함정 2. "유지보수비는 요율에 따릅니다"

    • 👉 실체: 구축비의 10~15%를 매년 관행적으로 지급합니다. 시스템이 멈춰 있어도 돈은 나갑니다.

  • 함정 3. "최신 AI 기술을 도입했습니다"

    • 👉 실체: 무료로 쓸 수 있는 민간 서비스보다 성능이 떨어지는 '자체 개발 챗봇'에 수억 원을 낭비합니다.

우리 연구원의 '전매특허'감사 키트

🕵️ [Secret 1] 정보화 사업 예산, '거품 제거' 체크리스트

 

기술 견적서를 볼 줄 몰라도 이 3가지만 확인하면 예산의 30%가 보입니다.

  1. HW vs SW 비율: 껍데기(장비)만 사고 알맹이(소프트웨어)는 없는지?

  2. 중복 투자 여부: 이미 행정안전부나 도(道)에서 보급한 시스템을 우리 시가 또 만들고 있지 않은가?

  3. 클라우드 전환: 서버를 직접 사는(On-premise) 대신 빌려 쓰는(Cloud) 방식과 비용 비교를 했는가?

 

📉 [Secret 2] 스마트시티·CCTV 예산 '현미경 검증'

 

  • CCTV 통합관제센터: "지능형 관제 AI가 실제로 범죄를 몇 건이나 탐지했습니까?" (실효성 검증)

  • 공공 앱(App) 전수조사: 다운로드 수 100건 미만, 마지막 업데이트 1년 넘은 '좀비 앱' 폐기 및 예산 삭감 전략.

 

💬 [Secret 3] 행정사무감사 필승! '디지털 송곳 질문' 10선

 

예시 질문을 클릭하면 해설이 나오는 인터랙티브 구성

  • Q. "과장님, 이 시스템의 동시 접속자 수(Traffic) 로그 기록 제출해 주세요."

    • (해설: 이용률이 저조하면 서버 용량을 줄여 유지비를 깎을 수 있습니다.)

  • Q. "도입한 AI 솔루션의 학습 데이터 저작권 계약서 보여주세요."

    • (해설: 저작권 해결이 안 된 AI는 나중에 폐기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행정사무감사·예산심사 대비 집중 코칭

"감사장은 전쟁터입니다. 빈손으로 나가시겠습니까?"

 

행정사무감사 시즌, 의원님을 위한 1:1 비밀 과외와 상임위 단체 워크숍이 열려 있습니다.

  • 집중 분석: 우리 지자체 '디지털 예산서' 사전 분석 서비스

  • 질의서 작성: 담당 공무원이 꼼짝 못 할 '핵심 질의서' 대필 및 첨삭

​서울사무소 : 서울시 마포구 매봉산로 31, 시너지움동7층

원주사무소: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오성마을길 63-25

​법인대표 박동명

법인번호 110111-86*****

(주)한국정책연구원© 2023 by PARK DONG MYUNG.

  • Blogger
  • Facebook
  • LinkedIn

​전화 02-383-1892

dongseoul10@gmail.com

Proudly created with SEOULBRAVO.COM

The Korea Policy Research Institute

bottom of page